암호화폐 정의, 장단점 및 종류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암호화폐 정의, 장단점 및 종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암호화폐 정의

암호화폐는 ‘암호화’라는 뜻을 가진 ‘crypto’와 통화, 화폐란 뜻을 가진 ‘currency’의 합성어입니다. 암호화폐는 분산 장부 (Distributed Ledger)에서 공개키 암호화를 통해 안전하게 전송하고, 해시 함수를 이용해 쉽게 소유권을 증명해 낼 수 있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암호화폐는 중앙은행이 발행하지 않고 블록체인이나 DAG (Directed Acyclic Graph)와 같은 분산 원장 (Distributed Ledger) 위에서 동작합니다. 블록체인은 분산 거래장부 (distributed ledger)로 기능하는 공적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암호화폐는 원래 재화교환의 매체, 즉 지급수단으로 고안되었습니다. 그러나, 액면가가 없고 투자의 목적이 되어 거래소를 통하여 시장의 수급에 따라 형성되는 가격으로 거래되어 소득 또는 손실이 발생합니다.



암호화폐 비트코인 이미지


암호화폐 역사

암호화폐의 역사는 2008년 10월 31일에 공개된 논문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을 바탕으로 2009년 1월 3일에 첫 블록이 만들어진 비트코인으로부터 시작됩니다.

비트코인은 최초의 암호화폐로서, P2P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기관 없이 거래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또한, 작업증명 (Proof-of-Work) 방식을 통해 새로운 코인을 발행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거래내역을 기록하는 방식을 도입하였습니다.

비트코인 이후에도 다양한 암호화폐들이 탄생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2011년 10월 7일에 첫 배포된 라이트코인은 비트코인과 유사하지만, 블록 생성 시간을 10분에서 2.5분으로 줄었습니다.

 

또한, 작업증명 알고리즘을 SHA-256에서 Scrypt로 변경하고, 최대 발행량을 2100만개에서 8400만개로 늘린 것이 특징입니다.

 

2015년 7월 30일에 출시된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암호화폐로서, 스마트 컨트랙트 – 디지털 형식으로 표현된 약속의 집합 – 을 블록체인 필드에 적용하여 암호화폐의 사용성을 확장한 것이 특징입니다.

장단점

먼저 장점을 살펴보겠습니다.

  • 보안과 개인 정보 보호: 암호화폐는 공개키 암호화와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거래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거래 상대방의 신원을 숨길 수 있습니다.
  • 쉬운 트랜잭션: 암호화폐는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쉽게 주고받을 수 있으며, 은행 계좌나 신용 카드와 같은 중개자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연중무휴 트랜잭션: 암호화폐는 언제든지 거래할 수 있으며, 주말이나 공휴일에도 제한이 없습니다.
  • 빠른 정산과 낮은 수수료: 암호화폐는 몇 초 내에 거래가 완료되며, 수수료도 매우 저렴하거나 없습니다. 은행이나 카드사와 같은 중개자가 없기 때문에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인플레이션 헤지: 암호화폐는 공급 한도가 정해져 있어서, 중앙 은행이 임의로 발행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음은 단점입니다.

  • 변동성: 암호화폐는 가격 변동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는 투자자에게 큰 수익이나 손실을 가져올 수 있으며, 화폐로서의 안정성을 떨어뜨립니다.
  • 확장성 문제: 암호화폐는 대규모로 확장되기 위한 인프라가 부족합니다. 거래 속도와 처리량이 한계에 부딪치면서, 네트워크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사이버 보안 문제: 암호화폐는 디지털 자산이기 때문에, 해커의 공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디지털 지갑이 도난당하거나 해킹당하면, 자산을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습니다.
  • 규제 부재: 암호화폐는 정부나 중앙 은행의 감독이나 통제를 받지 않습니다. 이는 자유로운 자산 관리를 가능하게 하지만, 동시에 법적인 보호나 소비자 권리를 보장받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기술적 복잡성: 암호화폐의 원리와 운영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암호화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지갑, 공개 키와 개인 키, 블록체인 등의 개념을 숙지해야 합니다.


암호화폐의 종류

  • 지불형 코인: 거래를 용이하게 하고 교환 매개체 역할을 하기 위해 설계된 코인입니다.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비트코인캐시, 대시 등이 있습니다.
  • 플랫폼 코인: 스마트 계약 기능과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DApp) 개발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에 고유한 코인입니다. 이더리움, 이오스, 카르다노, 아이오타 등이 있습니다.
  • 스테이블 코인: 안정성을 가진 코인으로 1코인 = 1달러 가치를 갖도록 설계된 코인입니다. 테더, USD 코인, 다이 등이 있습니다.
  • 유틸리티 토큰: 거래소코인 또는 게임이나 컨텐츠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암호화폐를 뜻합니다. 바이낸스 코인, 오미세고, 체인링크 등이 있습니다.
  • 보안 토큰: 실제 자산이나 수익권 등을 표현하는 암호화폐로 법적으로 보호받는 토큰입니다. 스파크스터, 브레이브 뉴 코인 등이 있습니다.
  • 프라이버시 코인: 익명성을 보장하는 암호화폐로 거래 상대방의 신원이나 거래 내역을 숨길 수 있는 코인입니다. 모네로, 제로엑, 버지 등이 있습니다.
  • NFT 토큰: 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유일무이한 디지털 자산을 표현하는 암호화폐입니다. CryptoKitties, CryptoPunks 등이 있습니다.

마치며

오늘 포스팅에서는 암호화폐 정의, 장단점 및 종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포스팅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